데이터베이스, 전자저널, 전자책,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등을 가나다순 또는 주제별로 이용
Search it, Browse it, and Find it!
도서관에서는 연세 구성원의 효율적인 학습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학술정보교육, 리서치가이드, 논문 작성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수록된 교재와 참고문헌 등의 학술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Your Research Partner, Yonsei University Library !
도서관 서비스 신청 양식을 한 곳에!
도서관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모르시나요?
하나부터 열까지! 도서관 이용 방법을 이곳에서 확인하세요.
About > Help에서 FAQ, 이메일 문의도 가능합니다.
나에게 도움되는 도서관 서비스를 알고 싶다면 이용자별 서비스를 확인해 보세요
연세대학교 도서관은 국내 대학도서관계에서 선도적인역할을 해 왔습니다.
이제는 세계를 향해 발돋움 하고 있는 도서관을 만나 보세요.
도서관 이용안내로도 해결이 안 된 문제는?
FAQ, 이메일 문의를 통해 궁금증을 해결해 보세요.
Your Research Partner, Yonsei University Library !
[원서명] : Die Traumdeutung
[저자(영문)] : Freud, Sigmund, 1856-1939
[해제] 오스트리아의 신경과 의사였던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1896년 정신분석이라는 새로운 인식방법으로 인간의 의식을 분석하는 획기적인 전환을 시도하였다. 정신분석의 방법을 통해 그는 개인의 정신을 ‘이드(id)’ ?? ‘자아(ego)' ?? '초자아(superego)'의 개념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시도가 담겨져 있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정신분석 강의>, <하스테리 연구>,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등이 있다.
<꿈의 해석>에서 프로이트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요소가 잠을 자는 동안 꿈을 통해 표출되는 것으로 이해했다. 사람은 자신이 의식하기 두려워하는 대상을 무의식 속으로 억압한다. 그러나 잠이 들면 사람의 의식적인 억압의 정도가 현저히 약화된다. 결국 의식적으로 억압하려 했던 무의식적인 요소들이 꿈속에서 표출되려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무의식적 요소들은 흔히 불안을 일으키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왜곡 또는 치환된 형태의 꿈으로 나타난다. 결국, 대부분의 꿈은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의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심리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발견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다윈의 진화론 못지않은 하나의 지적 혁명으로 평가받는다. 지동설이 우주에 대한 인류의 사고를, 진화론이 생명 탄생을 각각 신의 영역에서 과학의 영역으로 옮겨 놓았다면,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미지의 영역, 신화와 전설의 영역에 머물러 있던 꿈과 무의식의 세계를 처음 열어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자기 자신을 좀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한 완전한 새로운 길을 열었던 셈이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연구는 현재까지도 사상,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과 문학의 영역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