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전자저널, 전자책,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등을 가나다순 또는 주제별로 이용
Search it, Browse it, and Find it!
도서관에서는 연세 구성원의 효율적인 학습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학술정보교육, 리서치가이드, 논문 작성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수록된 교재와 참고문헌 등의 학술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Your Research Partner, Yonsei University Library !
도서관 서비스 신청 양식을 한 곳에!
도서관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모르시나요?
하나부터 열까지! 도서관 이용 방법을 이곳에서 확인하세요.
About > Help에서 FAQ, 이메일 문의도 가능합니다.
나에게 도움되는 도서관 서비스를 알고 싶다면 이용자별 서비스를 확인해 보세요
연세대학교 도서관은 국내 대학도서관계에서 선도적인역할을 해 왔습니다.
이제는 세계를 향해 발돋움 하고 있는 도서관을 만나 보세요.
도서관 이용안내로도 해결이 안 된 문제는?
FAQ, 이메일 문의를 통해 궁금증을 해결해 보세요.
Your Research Partner, Yonsei University Library !
[원서명] : The private life of plants : a natural history of plant behaviour
[저자(영문)] : Attenborough, David, 1926-
[해제] 저자인 애튼보로가 이 책에서 시도하고 있는 것은, 식물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인간의 눈으로가 아닌 식물들의 삶 자체에 대해 꾸밈없이 있는 그대로 말해주려는 데 있다. 애튼보로에 의하면 “식물들은 볼 수 있다. 그리고 계산을 하고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 그 뿐만 아니라 미세한 접촉에도 반응하고 아주 정확하게 시간을 잴 수 있다“는 것이다. 애튼보로는 식물이 볼 수 있다는 증거를 아주 평범한 사실에서 찾아낸다. 어둠 속에 묻혀 있는 식물의 싹은 틈새로 새어드는 한 줄기 빛을 향해서 기어나오기 시작한다. 그것은 식물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생울타리꽃은 해질녘에 서쪽을 향하고 있지만 밤 동안은 얼굴을 동쪽으로 돌려 새벽 햇빛을 맞이할 준비를 일찌감치부터 서두르는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긴 목을 돌리는 것도 식물이 햇빛을 볼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 식물들은 다만 우리인간과는 다른 매커니즘의 눈이라는 감각기관을 지니고 있을 따름이다. 식물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동물들보다 생존에 더 성공한 유기체이다. 식물들은 먼저 육지생활 영역을 개척하였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동물들은 잠시라도 살수 없는 지역에서 식물들을 번성하고 있다.
이 책은 영국 BBC 방송의 자연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제작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그런만큼 과학전문 학회지들의 기사 논문을 참고하는 이외에도 사진촬영의 전문가들이 가담하여 책의 내용을 더욱 충실히 이해하는데 훌륭한 사진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책 속의 여러 아름다운 사진들은 식물들도 여행을 하며, 사랑을 나누고 있음을 확인케 해준다. 아시아의 열대지방에 사는 길이가 15센티가 넘는 알소미트라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의 글라이더 모양의 씨앗 사진은, 씨 자체의 무게는 콩과 거의 맞먹지만 커다란 날개 덕분에 운반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알소미트라라는 식물의 씨앗은 이런 식으로 스스로 여행을 할 수 있는, 그런 점에서 우리 인간이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룬 존재인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인간의 지배욕에 가득찬 탐욕스런 눈이 아니라 사물을 있는 그대로의 눈으로, 다시 말해 식물 자신의 눈으로 볼 수 있다함은 어쩌면 근대라는 과학주의를 넘어서는 비밀스런 통로가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