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고서와 신서귀중본과 같이 자료 검색 시 소장처에 “신청 후 이용”으로 되어 있는 자료는 폐가제로 이용됩니다. 이용일자보다 최소 1일 전에 사전 이용 신청을 해야 자료가 준비될 수 있습니다. 자료 이용 신청은 홈페이지 Services 메뉴 아래 [신청/예약] 중 [고문헌 자료이용 신청] 페이지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안내문을 참조해주세요.(http://library.yonsei.ac.kr/local/html/oldDocuments)
답변
신서귀중본(O Collection)은 개화기에서 한국전쟁 이전에 간행된 자료로, 한국의 근현대사를 연구하는 데 꼭 필요한 자료들을 모은 콜렉션입니다. 당시의 출판 상황이 좋지 않고, 또 간행된 지 오래되어 도서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분별한 이용으로 급속도로 자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치기호 O를 사용하여 별도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개인 문고 중 한국전쟁 이전 자료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답변
고서는 1910년 이전에 간행, 혹은 필사된 자료를 일컫지만, 시기적으로 1910년 이후에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형태나 내용상 고서로 인정될 수 있는 자료는 고서로 별치합니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되었거나 유일본 및 희귀본, 저자의 육필 자료 등은 귀중본 고서로 선정하여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경우 마이크로필름으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개인이 기증한 고서는 고서개인문고로 별치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주요 컬렉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 묵용실문고 : 1932년 9월, 전남 곡성의 정봉태(丁鳳泰) 가문에서 기증 - 한상억문고 : 1937년 6월, 한상억의 가장본(家藏本) 중심으로 구성 - 유당문고 : 1973년 민태식 박사가 기증한 선대 緌堂 閔泳達의 수택 사장본 - 해관문고 : 1934년 10월, 김일선씨 기증 고서 - 탁사문고 : 1934년 9월, 최병헌 목사의 애장도서 - 원씨문고 : 연세의 창설자 원두우 박사와 장남 원한경, 손자 원일한 3대에 걸쳐 기증 - 용재문고 : 연세대학교 초대총장인 백낙준 박사 기증 - 이원철문고 : 1937년 3월, 이원철 박사 기증 - 장기원문고 : 1969년 5월, 장기원 박사 기증 - 좌옹문고 : 1932년 9월, 윤치호 선생 기증 - 서여문고 : 서여 민영규 교수 기증 - 노산문고 : 노산 이은상 시인 기증(백낙준 박사와의 인연) - 한결문고 : 한결 김윤경 교수 기증 - 위당문고 : 위당 정인보 선생 유족 기증
답변
검색한 자료는 우선 자료가 "대출중"이 아닌지 확인하고, 대출가능한 자료는 소장정보의 청구기호와 소장처를 확인합니다. 자료실 서가의 옆면에 있는 분류 표시에 따라 원하는 도서가 배가되어 있는 서가를 찾아서 책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해당 도서를 서가에서 빼서 대출처리합니다. 대출중인 도서는 예약신청을 통하여 도서가 반납되기를 기다렸다가 이용통보를 받고 대출합니다.
답변
검색한 자료가 대출가능 임에도 서가에서 찾을 수 없을 때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Services > 신청/예약 > 서가에 없는 도서 찾기"로 신고하여 자료를 찾거나 도서관 서비스 데스크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찾아보고 신고한 이용자에게 문자로 처리사항을 알려드립니다.
답변
원본 자료의 보호를 위해 고문헌 자료의 복제는 제한적으로만 허용이 됩니다. 자료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한하여 부분적으로만 복사가 가능하면, 현재 사진 촬영은 허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도서관정책에서 ‘학술정보원 소장 고문헌 등의 자료 복제에 관한 내규’를 참고해주십시오.
답변
일정 기준 이상의 도서를 기증할 경우 개인문고로 지정됩니다. 개인문고 지정과 관련해서는 학술정보원 문고 설치와 운영에 관한 내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국학자료실에 소장된 개인문고에는 용재문고(백낙준), 노산문고(이은상), 한결문고(김윤경), 열운문고(장지영), 언더우드문고, 류영익문고, 칠리문고(이광린), 김용섭문고, 서여문고(민영규), 홍이섭문고, 조의설문고, 해원문고(박기혁) 등이 있으며, 개가제로 이용 가능하나 관외대출은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