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 ENGLISH
  • LOGIN
  • 사이트내검색
    사이트내 검색

    닫기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로고 이미지

닫기

상세정보

  • HOME
  • 검색상세정보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유현준

책이미지
서평쓰기
서평쓰기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 유현준 지음
개인저자유현준
발행사항서울 : 을유문화사, 2015
형태사항391 p. : 천연색삽화 ; 22 cm
ISBN9788932472959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캠퍼스대출캠퍼스대출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매체정보
1 00011981726 307.76 015가 [신촌]도서관/사회·역사자료실(중도3층)/ 대출중 2023-10-04
2 00011978077 307.76 015가 =2 [신촌]도서관/사회·역사자료실(중도3층)/ 대출가능
3 00011978078 307.76 015가 =3 [신촌]도서관/사회·역사자료실(중도3층)/ 대출중 2023-10-05
4 00011985309 307.76 015가 =4 [신촌]도서관/사회·역사자료실(중도3층)/ 대출가능
5 00011979235 307.76 015가 =5 [신촌]도서관/사회·역사자료실(중도3층)/ 대출가능
6 00071032092 UML 307.76 015가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자료열람실(5층)/ 대출가능
7 00071065424 UML 307.76 015가 =2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8 00071065425 UML 307.76 015가 =3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9 00071065426 UML 307.76 015가 =4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중 2023-09-27
10 00071065427 UML 307.76 015가 =5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1 00071065428 UML 307.76 015가 =6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2 00071065429 UML 307.76 015가 =7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3 00071065430 UML 307.76 015가 =8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4 00071065431 UML 307.76 015가 =9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5 00071065432 UML 307.76 015가 =10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6 00071065433 UML 307.76 015가 =11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7 00071083114 UML 307.76 015가 =12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8 00071083115 UML 307.76 015가 =13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19 00071083116 UML 307.76 015가 =14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20 00071083117 UML 307.76 015가 =15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중 2023-10-04
21 00071083118 UML 307.76 015가 =16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중 2023-10-05
22 00071083119 UML 307.76 015가 =17 [국제]언더우드기념도서관/창의열람실(4층)/RC추천(UML ONLY) 대출가능

책 소개

책소개 일부

도시는 단순히 건축물이나 공간들을 모아 놓은 곳이 아니다. 도시는 인간의 삶이 반영되기 때문에 인간이 추구하는 것과 욕망이 드러난다. 이 책은 자신들이 만든 도시에 인간의 삶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과연 더 행복해지는지 아니면 피폐해지고 있는지 도시의 답변을 들려준다.

고층 건물들만 들어서 있는 테헤란로는 산책하는 사람이나 데이트하는 연인이 드문데, 가로수길, 명동 거리, 홍대 앞은 사람들로 넘쳐나고, 구불구불한 강북의 골목길은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까? 일단 테헤란로를 보자. 사무실이 빼곡히 들어찬 고층 건물들만 보인다. 그곳이 직장이거나 특별한 볼일이 있지 않는 한 갈 일이 없다. 구경할 것도 살 만한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럼 명동이나 홍대 거리를 보자.

일단 다양한 가게들이 즐비해 구경거리가 많다. 다니다가 배가 고프면 간단하게 먹을 만한 곳들도 많고 극장이나 공연장도 있다. 이벤트 요소가 다양한 것이다. 유럽의 오래된 도시가 볼 것도 많고 도보 위주의 짧은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 걷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자동차 위주로 만들어진 뉴욕 같은 도시들은 격자형으로 지루하게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블록도 크게 구획되...

책소개 전체

도시는 단순히 건축물이나 공간들을 모아 놓은 곳이 아니다. 도시는 인간의 삶이 반영되기 때문에 인간이 추구하는 것과 욕망이 드러난다. 이 책은 자신들이 만든 도시에 인간의 삶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과연 더 행복해지는지 아니면 피폐해지고 있는지 도시의 답변을 들려준다.

고층 건물들만 들어서 있는 테헤란로는 산책하는 사람이나 데이트하는 연인이 드문데, 가로수길, 명동 거리, 홍대 앞은 사람들로 넘쳐나고, 구불구불한 강북의 골목길은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까? 일단 테헤란로를 보자. 사무실이 빼곡히 들어찬 고층 건물들만 보인다. 그곳이 직장이거나 특별한 볼일이 있지 않는 한 갈 일이 없다. 구경할 것도 살 만한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럼 명동이나 홍대 거리를 보자.

일단 다양한 가게들이 즐비해 구경거리가 많다. 다니다가 배가 고프면 간단하게 먹을 만한 곳들도 많고 극장이나 공연장도 있다. 이벤트 요소가 다양한 것이다. 유럽의 오래된 도시가 볼 것도 많고 도보 위주의 짧은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 걷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자동차 위주로 만들어진 뉴욕 같은 도시들은 격자형으로 지루하게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블록도 크게 구획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벤트 요소가 적다. 걸어 다니며 관광하기에는 유럽의 오래된 도시가 훨씬 좋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일부

도시는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을 닮는다

도시는 단순히 건축물이나 공간들을 모아 놓은 곳이 아니다. 도시는 인간의 삶이 반영되기 때문에 인간이 추구하는 것과 욕망이 드러난다. 이 책은 자신들이 만든 도시에 인간의 삶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과연 더 행복해지는지 아니면 피폐해지고 있는지 도시의 답변을 들려준다.
도시는 과연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1 걷고 싶은 거리, 뜨는 거리의 법칙
왜 고층 건물들만 들어서 있는 테헤란로는 산책하는 사람이나 데이트하는 연인이 드문데, 가로수길, 명동 거리, 홍대 앞은 사람들로 넘쳐나고, 구불구불한 강북의 골목길은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까? 일단 테헤란로를 보자. 사무실이 빼곡히 들어찬 고층 건물들만 보인다. 그곳이 직장이거나 특별한 볼일이 있지 않는 한 갈 일이 없다. 구경할 것도 살 만한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럼 명동이나 홍대 거리를 보자. 일단 다양한 가게들이 즐비해 구경거리가 많다. 다니다가 배가 고프면 간단하게 먹을 만한 곳들도 많고 극장이나 공연장도 있다. 이벤트 요소가 다양한 것이다. 유럽의 오래된 도시가 볼 것도 많고 도보 위주...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전체

도시는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을 닮는다

도시는 단순히 건축물이나 공간들을 모아 놓은 곳이 아니다. 도시는 인간의 삶이 반영되기 때문에 인간이 추구하는 것과 욕망이 드러난다. 이 책은 자신들이 만든 도시에 인간의 삶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과연 더 행복해지는지 아니면 피폐해지고 있는지 도시의 답변을 들려준다.
도시는 과연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1 걷고 싶은 거리, 뜨는 거리의 법칙
왜 고층 건물들만 들어서 있는 테헤란로는 산책하는 사람이나 데이트하는 연인이 드문데, 가로수길, 명동 거리, 홍대 앞은 사람들로 넘쳐나고, 구불구불한 강북의 골목길은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까? 일단 테헤란로를 보자. 사무실이 빼곡히 들어찬 고층 건물들만 보인다. 그곳이 직장이거나 특별한 볼일이 있지 않는 한 갈 일이 없다. 구경할 것도 살 만한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럼 명동이나 홍대 거리를 보자. 일단 다양한 가게들이 즐비해 구경거리가 많다. 다니다가 배가 고프면 간단하게 먹을 만한 곳들도 많고 극장이나 공연장도 있다. 이벤트 요소가 다양한 것이다. 유럽의 오래된 도시가 볼 것도 많고 도보 위주의 짧은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 걷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자동차 위주로 만들어진 뉴욕 같은 도시들은 격자형으로 지루하게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블록도 크게 구획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벤트 요소가 적다. 걸어 다니며 관광하기에는 유럽의 오래된 도시가 훨씬 좋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2 오래된 도시들은 아름다운데 현대 도시들은 왜 아름답지 않을까?
조금 전에 언급한 유럽의 오래된 도시와 현대의 뉴욕 이야기를 이어가 보자. 오래된 도시들은 휴먼 스케일에 맞춰져 있다. 재료도 그 지역에서 구하기 쉬운 것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절로 특색이 생긴다. 여기에 그곳의 문화가 더해져 각 지역의 색깔이 만들어진다. 이런 도시는 스카이라인도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특색을 갖고 있다. 고층 건물이 마구 솟아 있는 비슷비슷한 현대 도시의 스카이라인과는 확연히 다르다. 오래된 도시와 현대 도시는 건축물을 짓는 자세도 차이를 보인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순응하는 자세로 지은 옛 건축물과 달리 현대의 건축물은 자연을 극복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지은 것들이다. 경사진 곳에 축대를 쌓아 땅을 평평하게 한 뒤 그 위에 획일화된 아파트를 지으며 옹벽을 만드는 식이다. 몇몇 건축물은 자연에 순응해서 지어지기도 했지만 말 그대로 몇몇에 불과하다. 우리의 옛 건축물들이 자연과 교류하는 방식으로 지어진 것을 생각하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심지어 정자는 자연과의 교류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물론 무조건 옛 건축 양식이 좋고 맞다는 것은 아니다. 그 시대의 수요와 한계가 지금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연을 대하는 방식에 있어 현대 건축은 아쉬운 점이 많다. 환경이 다른데 획일화된 양식을 도입하는 것은 그 지역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거나 단점을 덮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어딜 가나 비슷비슷한 모습의 풍경이 지루하게 펼쳐지게 된다.
3. 권력이 드러나는 도시
도시는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삶과 욕망이 드러난다. 그렇기에 도시에는 권력이라는 놈이 내민 얼굴도 보인다. 중앙에서 죄수를 감시하는 팬옵티콘과 비슷한 모양인 파리의 방사형 도로망,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타인을 내려다보는 펜트하우스, 부장은 부하 직원들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직원들이 부장을 보려면 일부러 고개를 돌려서 봐야만 볼 수 있는 곳(게다가 창가를 등져서 후광도 생긴다)에 위치시킨 자리 배치 등. 한편 호텔처럼 비싼 돈 내고 이용하는 곳은 일부러 사용자가 잘 보이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같은 지역의 아파트라도 평수나 임대인지 아닌지로 선을 긋거나 호화 주택으로 자신의 부를 과시하고 그런 사람들끼리 모여 살며 보이지 않는 벽을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호화 주택을 고깝게만 볼 수는 없다. 조선 시대 때 민중이 살던 초가집이 계승할 전통으로 대접받지 못하고 사대부의 한옥이 전통이 되었듯이 훗날 럭셔리한 회장님 집이 후대의 전통으로 인정될지도 모를 일이니.
4. 현대 도시의 모습
건축 양식도 철학도 달랐기에 차이를 보였던 동서양의 옛 도시의 모습과 달리 현대의 도시는 획일화되어 가고 있다. 그렇지만 나름의 노력들도 있다. 앞서 언급된 뉴욕의 경우 격자형의 단조로움을 깨기 위해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가는 브로드웨이를 만들어 격자형과 대각선이 만나는 지점에 생기는 삼각형 같은 독특한 공간 구조인 타임스퀘어를 만들어 냈고,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같은 랜드마크나 센트럴 파크 같은 쉴 공간을 만들어 지루함을 덜어 냈다. 도시는 끊임없이 변한다. 예술가들이 모여 독특한 홍대 문화를 만들었지만 땅값이 오른 지금은 예술가들이 다른 지역으로 옮겨 가고 있는데, 이와 비슷한 일들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났다. 도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변화해 왔다. 그런데 현대 도시는 서로 다른 문화가 섞이면서 문화의 다양성을 잃어 가고 있으며 어설픈 철학과 인문학의 도입으로 건축의 본질적인 가치가 훼손되는 부작용이 만들어 지기도 했다.
5. 도시는 유기체다
대도시의 복잡한 인공 생태계나 여러 변화와 혼돈으로 가득한 현대의 건축은 읽어 내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은 더 좋은 새로운 것이 태동할 과도기적 현상일지도 모른다. 우리 주변을 감싸고 있는 도시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한 이유이다. 그렇다면 도시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저자는 도시는 유기체라고 말한다. 도시 계획을 한 디자이너의 손을 떠나면 이내 진화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도시는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에 따라 변한다. 마치 종자는 물론이고 토양이나 기후, 담그는 사람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포도주 같다.
6. 현대 도시가 잃어 가는 것들
서울을 보자. 예전의 모습과 가장 많이 달라진 것은 무엇일까? 아마도 나름의 정원을 가꾸며 사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던 앞마당과 이웃 간에 이야기를 나누거나 아이들끼리 뛰어놀던 골목길이 사라졌다는 것일 거다. 이것은 자연과 인간의 소통 그리고 사람 간의 소통의 단절을 의미한다. 앞마당에서의 흙장난이나 이웃과의 수다 대신 TV 앞에서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거나 스마트폰을 붙잡고 있는 것이 현대인의 일상이 되었다. 그래서 ‘갈수록 삭막해진다’는 말이 나오는 건지도 모른다. 각 집의 특색이 되었던 빨래도 사라졌다. 그렇게 사람 냄새 풍기는 것들이 사라지고 있다(심지어는 아파트 경비원 대신 무인 경비 시스템이 그 자리를 차지하며 사람 자체가 사라지기도 한다). 도시가 잃어 가는 것은 어쩌면 사람의 온기일지도 모른다.

호텔과 모텔은 창문 하나 차이? | 사무실 자리 배치에는 숨겨진 비밀이 있다? | 왜 보스턴 코먼 공원에는 밤에도 사람이 많은데 센트럴 파크에는 밤에 사람이 없을까? | 절에 들어가는 건 쉬운데 왜 교회에 들어가는 건 어려울까? | 은행가들이 미술가들을 따라 이사를 다닌 이유는? | 왜 사람들은 서울의 네온사인은 싫어하면서 라스베이거스의 네온사인은 좋아할까?

청구기호 Browsing

이 분야 인기자료

  • 표지이미지
    中國法制通史
    장진번 張晋藩
    法律出版社, 1999
  • 표지이미지
    (마이클 샌델) 공정하다는 착각 : 능력주의는 모두에게...
    Sandel, Michael J
    와이즈베리, 2020
  • 표지이미지
    International human rights
    Donnelly, Jack
    Routledge, 2020
  • 표지이미지
    리바이어던 : 교회국가 및 시민국가의 재료와 형태 및 ...
    Hobbes, Thomas
    나남, 2008
  • 표지이미지
    Corporate governance in Asia :...
    Aronson, Bru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서평 (6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서평 입력 시 선택한 별점은 전체 별점에 반영됩니다.
제목입력
본문입력

사람의 삶을 디자인하는 '건축'
  • 10
  • 2022-10-11
  • 추천수(0)
'어느 환경에서도 잘 맞는 건물은 좋은 건축물이 아니다.' 저자는 진정 훌륭한 건축물은 지어진 땅에서만, 즉 그 환경에만 맞는 건축물이라고 말한다. 단순히 잘 짜인 건축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그 환경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것이 건 축이기 때문이다. 건축은 돈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뿐 아니라 사람의 삶을 디자인하 는 것이므로 더 나은 건축에 대해 우리 모두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도시는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을 닮는다
  • 10
  • 2022-10-09
  • 추천수(0)
집이 모여 도시가 되고 도시가 모여 나라가 된다. 그래서 도시는 그안에 사는 사람을 닮는다. 네온사인이 반짝이는 곳에서는 그만큼 화려하게 살아갈것이고 단아하고 수려한 한옥고택은 우리의 민족을 표현하기도한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것은 표현함에 있어서 자연과 화목하게 어울려야한다는것이다. 자연은 푸르른 숲을 말하기보다 본연에 모습을 이용하여 지어야한다는것이다.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디자인한 낙수장처럼, 전라남도에 있는 소쇄원처럼, 성 베네딕트 채플처럼 자연의 아름다움을 충분히 느낄수 있고 그 미학을 담은 건축이야말로 자연과 사람 둘 다 만족하는 일이 아닐가 싶다
‘공간’이 건네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자.
  • 10
  • 2022-03-09
  • 추천수(0)
이제 막 연인이 된 커플이 있다. 나란히 손을 잡고 걸으며 데이트를 한다면 강남의 테헤란로를 걸어야 할까? 아니면 신사동 가로수길을 걸어야 할까? 정답이 알고 싶다면 ‘공간’에게 물어보자. 공간은 그들이 ‘걷고 싶은 거리’가 어디인지 알고 있다.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의 저자 유현준 교수는 우리 삶을 둘러싼 아주 일상적인 이야기들을 펼쳐놓고 도시의 공간을 색다른 시각으로 다채롭게 보여준다. 이 책을 통해 그는 지금까지 도시 속 건물만을 바라보던 독자들에게 건물이 만들어내는 ‘공간’을 한번 바라보자고 말을 건넨다. 위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첫 번째 장 ‘왜 어떤 거리는 걷고 싶은가’에 나와 있다. 보행자가 걸으면서 마주치는 거리 위 상점의 출입구 빈도수와 ‘걷고 싶은 거리’의 상관관계를 언급한다. 즉, 신사동 가로수길처럼 가게의 출입구 수가 많아 보행자의 경험과 체험이 더욱 다양해질 수록 ‘걷고 싶은 거리’가 된다. 그러나 강남의 테헤란로는 거리 위 상점의 빈도수가 적어 보행자의 선택의 경우가 줄어들기에 ‘걷고 싶지 않은 거리’가 된다.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는 인문학적 시선을 담은 열다섯 가지 주제들을 담고 있다. 각 주제들은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쉽게 지나쳤던 일상 속 공간들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들이 ‘건축’이라는 낯선 분야에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현대 도시들은 왜 아름답지 않은가, 호텔과 모텔은 무엇이 다른가, 냉장고와 건축은 어떤 상관관계에 놓여있는가 등 평소에 접하기 드문 신선한 질문들을 던지며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 주변의 ‘공간’을 바라보게 한다. 유현준 교수는 책을 통해 ‘건축’이란 예술인 동시에 과학이며, 그 속에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이 모두 종합되어 있다고 말한다. 우리의 삶은 건축을 떠나서는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도시와 건축에 대해서 아는 것이 없다. 우리를 둘러싼 공간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펼쳐보자.
열다섯 번의 질문으로 지구를 걷다
  • 10
  • 2021-05-14
  • 추천수(0)
“왜 어떤 거리는 걷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건축이 자연을 다루는, 한국적인 방식에 대해서 묻기까지 열 다섯 번의 질문으로 ‘공간’의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이 책은 도시에 관하여 이야기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그 안에 살고 있는 아주 작은 하나하나의 존재, ‘사람’에 관하여 말하고 있는 듯하다. 공간은 채우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공간이 있기 전에 사람이 있었다. 우리는 공간을 ‘만들며’ 살아간다. 책의 앞 부분에 최재천 교수의 추천사 제목, “사람은 도시를 만들고 도시는 사람을 만든다”에서도 알 수 있듯 말이다. ‘도시’하면 떠오르는 무채색의 차가운 이미지, ‘학교’하면 떠오르는 딱딱하고 네모반듯한 이미지, ‘교회’하면 떠오르는 엄숙하고 신성한 이미지. 언제부터 어떤 장소를 떠올리면 자연스레 정형화된 이미지가 떠오르게 된 것일까? 사람은 공간을 만들며 살아가고, 저마다 장소에 대한 각 다른 추억과 향수가 있기 마련이다.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는 도시와 건축, 공간과 사람에 대한 열다섯 번의 질문으로 지구 한 바퀴를 산책하듯 걸으며 고정관념을 탈피하게 돕는다. 머릿 속에 새로운 세상을 건축해나가게끔 하는 책이다.
살고 싶은 도시에서 사는 법
  • 10
  • 2021-05-11
  • 추천수(0)
우리가 살고 싶어하는 도시, 재미있어하는 도시는 무엇인지 고민하게 해준 책
우리는 어디서 ,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10
  • 2021-04-28
  • 추천수(0)
도시는 무엇으로 살아가는 지 뿐만 아니라,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는지까지 알게 해 준 책.

태그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