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ENGLISH
  • LOGIN
  • 사이트내검색
    사이트내 검색

    닫기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로고 이미지

닫기

상세정보

  • HOME
  • 검색상세정보

지구촌 :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

McLuhan, Marshall

책이미지
서평쓰기
서평쓰기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지구촌 :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 / 마샬 맥루한, 브루스 R. 파워스 지음 ; 박기순 옮김.
개인저자McLuhan, Marshall,1911-1980
Powers, Bruce R.
박기순
발행사항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형태사항xvi, 257 p. ; 23 cm
총서사항맥루한 ;4
커뮤니케이션북스 ;590
원서명(The) global village : transformations in world life and media in the 21st century
연관저록The global village McLuhan, Marshall, 1911-1980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019505444X (alk. paper)
ISBN8984992658
서지주기참고문헌: p. 227-233
언어한국어

전자자료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캠퍼스대출캠퍼스대출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매체정보
1 00011572588 302.23 005나 [신촌]도서관/사회·역사자료실(중도3층)/ 대출가능
2 00011572589 302.23 005나 =2 [신촌]도서관/사회·역사자료실(중도3층)/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한글]

'지구촌'을 최초로 명명한 마샬 맥루한의 생애 마지막 저서.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낯익은 맥루한의 이론을 모두 확대시켜,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전자 네트워크의 21세기에 미디어와 인류의 삶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예언하고 있다. 증대, 쇠퇴, 부활, 역전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테트래드라는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책은 2...

목차 전체

[한글]

'지구촌'을 최초로 명명한 마샬 맥루한의 생애 마지막 저서.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낯익은 맥루한의 이론을 모두 확대시켜,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전자 네트워크의 21세기에 미디어와 인류의 삶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예언하고 있다. 증대, 쇠퇴, 부활, 역전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테트래드라는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책은 21세기의 미디어와 인류의 삶에 일어날 수 있는 변화를 미리 알려주는 일종의 예언서이다. 맥루한은 이 책을 통해 21세기 지구촌 시대에는 전체적이고 질적인 인식 성향을 띤 동양이 선형적이고 수량적인 인식 성향을 띤 서양에 다가갈 것이고, 서양은 이를 수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지은이 소개>


마샬 맥루한
1911년 캐나다 앨버타 주 에드먼턴에서 태어났다. 마니토바대학교 공학부에 입학했으나 곧 영문학과로 전과,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국으로 건너가 케임브리지대학교에 입학해 약 12년 동안 르네상스 영문학을 전공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와 세인트 루이스대학교에 재직하는 동안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여 엘리자베스 시대의 풍자 시인인 토머스 내시(Thomas Nashe)에 관한 학위논문 “토머스 내시의 수사법(修辭法)”을 완성하여 1942년에 박사학위를 획득하였다. 미국 어섬프션대학교(현 윈저대학교)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세인트 미카엘대학에서 교수로 있었다. 토론토대학교에 신설된 <문화 및 기술연구소(Center for Culture and Technology)>의 소장직도 겸임했다. 미국 뉴욕 포담대학교의 알베르트 시바이처 체어(Albert Schweitzer Chair)의 명예 교수직을 맡았으며, 사회 커뮤니케이션 문제 담당 교황고문에 임명되었다. 영문학자로 출발한 맥루한은 커뮤니케이션 이론가, 전자시대에 대한 문명비평가 또는 현대 사상가로 알려졌다.

브루스 R. 파워스
[지구촌]을 쓸 당시 캐나다 나이아가라대학교(Niagara University)에서 영어 및 커뮤니케이션학 전공 부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마샬 맥루한의 오랜 친구이자 공동 연구자였다.

역자 소개

박기순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 졸업
미국 미주리대학교(콜럼비아) 신문학 석사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미국 오하이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코리아 헤럴드 견습기자
한국일보 L.A. 지사 외신부 차장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풀러톤) 커뮤니케이션학과 강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아시아분교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강사
미국 타우슨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환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홍보학회 회장
한국 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현재 성균관대학교 종신 명예교수 

[영문]

목차

목차 일부

[한글]

서문 

Ⅰ. 시각적 공간과 청각적 공간의 탐색 
1. 공명 간격 
2. 바퀴와 축 
3. 시각 공간과 청각 공간 
4. 뇌의 좌우반구와 동서양의 만남 
5. 플라톤과 천사론 
6. 숨겨진 효과 

Ⅱ. 비디오 관련 테크놀로지의 세계적 영향 
7. 글로벌 로봇티즘: 만족 효과 
8. 글로벌 로봇티즘: 불만족 효과 
9....

목차 전체

[한글]

서문 

Ⅰ. 시각적 공간과 청각적 공간의 탐색 
1. 공명 간격 
2. 바퀴와 축 
3. 시각 공간과 청각 공간 
4. 뇌의 좌우반구와 동서양의 만남 
5. 플라톤과 천사론 
6. 숨겨진 효과 

Ⅱ. 비디오 관련 테크놀로지의 세계적 영향 
7. 글로벌 로봇티즘: 만족 효과 
8. 글로벌 로봇티즘: 불만족 효과 
9. 로봇의 천사: 유클리드 공간에서 아인슈타인 공간까지 

Ⅲ. 미국과 캐나다: 공명 간격으로서의 국경 
10.에필로그: 반대 환경으로서의 캐나다 

Ⅳ. 태트래드의 용어 풀이 
테트래드의 용어 풀이 

참고문헌 
감사의 말 
역자 후기 
주석 
저자 소개 
역자 소개 

[영문]

책 소개

'지구촌'이란 말을 최초로 만들어 사용한 마샬 맥루한의 생애 마지막 저서. 기술결정론자, 예언자, 문화비평가, 혹은 미디어 이론가로 알려진 맥루한은 이 책에서 그의 생각을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에 맞추어 확대시킨다.

맥루한은 인간의 삶과 미디어를 에워싸는 하나의 환경으로서 현재를 생각하는 예술가적 접근 방식으로 미래를 바라본다. 책에서 그가 예언에 사용하고 있는 개념적 틀은 확장(피겨), 쇠퇴(그라운드), 부활(피겨), 역전(그라운드)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테트래드(tetrad) 모형이다.

맥루한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 네 가지 요소를 통해 인간이 만든 모든 인공물과 인간 자신의 삶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는지 밝히며, 그 변화할 모습을 예측하고 있다.

청구기호 Browsing

이 분야 인기자료

  • 표지이미지
    (마이클 샌델) 공정하다는 착각 : 능력주의는 모두에게...
    Sandel, Michael J
    와이즈베리, 2020
  • 표지이미지
    (미래를 여는) 교육학
    강상진 姜相鎭
    박영story, 2019
  • 표지이미지
    파이낸스 커리어 바이블 : 금융권 진출의 성공적인 시작...
    이혁재
    매일경제신문사, 2009
  • 표지이미지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
    문학과지성사, 2015
  • 표지이미지
    행정법 강론
    김남철
    박영사, 202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서평 입력 시 선택한 별점은 전체 별점에 반영됩니다.
제목입력
본문입력

태그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