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글] 목차
제1과 화성(和聲)과 음악 = 12
제2과 음계(音階) = 13
1. 고전적 장조(長調)와 단조(短調)의 비교 = 14
2. 주음에서 본 장·단조의 음정(音程) = 14
3. 반음계(半音階) = 15
4. 음정의 자리바꿈(轉回) = 16
5. 장·단조의 2·3·4도 음정의 비교 = 16
6. 음정의 복합 = 17
7. 음정의 이름...
목차 전체
[한글] 목차
제1과 화성(和聲)과 음악 = 12
제2과 음계(音階) = 13
1. 고전적 장조(長調)와 단조(短調)의 비교 = 14
2. 주음에서 본 장·단조의 음정(音程) = 14
3. 반음계(半音階) = 15
4. 음정의 자리바꿈(轉回) = 16
5. 장·단조의 2·3·4도 음정의 비교 = 16
6. 음정의 복합 = 17
7. 음정의 이름과 종류 = 18
8. 협화음과 불협화음정 = 19
제3과 화음(和音) = 20
1. 3화음 = 20
2. 각 음도(音度)상의 3화음과 3화음의 종류 및 성질 = 20
3. 7화음 = 21
4. 9화음 = 22
5. 화음의 기본형(基本形)과 자리바꿈형(轉回形) = 23
6. 선율(旋律)과 화성(和聲) = 26
7. 화성의 발생 = 27
8. 화성 = 27
9. 배음(倍音) = 28
10. 화음의 배치(配置) = 28
제4과 화음의 기능(機能) = 29
1. 으뜸화음의 기능과 용법 = 29
2. 비화성음(非和聲音:화성밖의 음)〔Ⅰ〕 = 34
(a) 경과음(經過音;Passing tone) = 34
(b) 보조음(補助音;Neighboring tone) = 35
3. 딸림화음의 기능과 용법 = 37
4. 종지(Cadence) = 39
5. 3화음의 자리바꿈 = 39
6. 화음의 기능적(機能的)인 연결 = 41
7. 딸림 7화음의 기능과 용법 = 44
(a) 딸림 7화음의 자리바꿈 = 44
(b) 딸림 7화음의 생략 = 45
(c) 딸림 7화음을 배경으로 한 멜로디 = 45
8. 비화성음 〔Ⅱ〕 = 55
(a) 전과음(轉過音;Changing tone) = 55
(b) 선행음(先行音;Anticipation) = 57
9. 버금딸림화음의 기능과 용법 = 60
10. 2성부의 진행 형태 = 67
(a) 병행 5도 = 68
(b) 병행 8도 = 68
(c) 병행 4도 = 69
(d) 은복 5·8도 = 69
(e) Ⅳ→Ⅴ<TEX>$$_{7}$$</TEX>의 연결 = 69
(f) Ⅰ<TEX>$$_{4}^{6}$$</TEX>을 사용한 진행 = 70
11. 화음배치의 일반적인 규칙 = 84
12. 종지형의 종류 = 85
(a) 정격종지(正格終止;Authentic cadence) = 86
(b) 허위종지(虛僞終止;Deceptive cadence) = 86
(c) 변격종지(變格終止;Plagal cadence) = 87
(d) 반종지(半終止·中間終止;Half cadence) = 87
(e) 불완전종지(不完全終止;Imperfect cadence) = 87
(f) 자리바꿈된 종지(轉位終止;Inverted cadence) = 87
(g) 중세(中世)에 쓰이던 종지 = 88
(h) 피카르디 3도 = 89
(i) 남성종지(강한 종지)와 여성종지(약한 종지) = 89
(j) 자리바꿈된 3화음의 예 = 90
(k) Ⅰ<TEX>$$_{4}^{6}$$</TEX>을 경과하는 정격종지와 허위종지표 = 97
제5과 멜로디의 2중음 주법 = 98
1. 병진행(竝進行) = 100
2. 사진행(斜進行) = 100
3. 반진행(反進行) = 100
4. 3도의 병진행 = 101
5. 6도의 병진행 = 102
6. 3·6도의 병진행 = 102
제6과 단음계 위에 구성되는 3화음 = 104
1. 단조에 있어서 Ⅴ·Ⅴ<TEX>$$_{7}$$</TEX>의 기능과 용법 = 104
2. 단조에 있어서 Ⅳ의 화음과 주요3화음의 용법 = 114
(a) Ⅰ→Ⅳ→Ⅰ;종지 Ⅱ = 114
(b) Ⅰ→Ⅳ→Ⅴ<TEX>$$_{7}$$</TEX>→Ⅰ·Ⅰ→Ⅳ→Ⅰ<TEX>$$_{4}^{6}$$</TEX>→Ⅴ<TEX>$$_{7}$$</TEX>→Ⅰ;종지 Ⅲ = 116
제7과 부3화음(副三和音) = 124
1. Ⅱ의 화음 = 124
2. Ⅵ의 화음 = 133
3. Ⅲ의 화음과 Ⅶ(Ⅴ<TEX>$$_{7}$$</TEX>)의 화음 = 139
4. 비화성음 〔Ⅲ〕 = 143
(a) 계류음(繫留音;Suspension) = 143
(b) 보속음(保續音;Organ point·Pedal point) = 145
제8과 조성(調性)의 느낌 = 148
1. 장조(長調) = 148
2. 단조(短調) = 149
제9과 종합실습 〔Ⅰ〕 = 151
1. 화음 선택의 방법(1) = 151
2. 반주 작성할 때의 유의점 = 153
3. 반주 붙이는 방법 = 154
4. 화음의 분산(分散) = 154
5. 병진행의 유의점 = 155
6. 각 조에 있어서 주요 3화음의 분산 반주표 = 156
7. 화음 선택의 방법(2) = 157
8. 멜로디와 화성 그리고 반주형의 선정 = 158
제10과 유선율과 무선율 반주 = 170
1. 선율과 반주 = 173
(a) 유선율 반주곡 = 173
(b) 무선율 반주곡 = 176
2. 22가지의 무선율 기초 반주형 = 177
3. 부3화음의 용법과 기능 = 182
4. 유선율 반주로 하는 3중음의 반주형 = 183
제11과 유선율 반주로 하는 4성부형 = 185
1. 장조 = 185
2. 중음 주법의 유의점 = 188
3. 단조 = 188
(a) 오른손의 2성체형 = 188
(b) 오른손의 3성체형 = 189
(c) 오른손의 4성체형 = 189
4. 같은 화음안의 베이스를 교대하는 반주(Alternating Bass) = 190
(a) 화음의 근음을 짚고 반주하는 형 = 194
(b) a단조의 화음연결 정형(定型) = 195
(c) 경과음 Ⅴ<TEX>$$_{3}^{4}$$</TEX> = 196
(d) 화음의 반복진행 = 196
제12과 4성체의 종지와 응용 = 199
1. Ⅰ→Ⅴ→Ⅰ·Ⅰ→Ⅴ<TEX>$$_{7}$$</TEX>→Ⅰ;종지〔Ⅰ〕 = 199
2. Ⅰ→Ⅳ→Ⅴ<TEX>$$_{7}$$</TEX>→Ⅰ;종지〔Ⅲ〕 = 214
3. 4성체에 의한 주요 3화음의 자리바꿈형 = 219
(a) 첫째자리바꿈형의 화음 = 219
(b) 둘째자리바꿈형의 화음 = 221
4. 4성체의 자리바꿈형과 주요3화음의 용법 = 221
(a) 첫째자리바꿈형(六의 화음) = 222
(b) 둘째자리바꿈형(四·六의 화음) = 222
5. 4성체에 의한 부3화음과 그 용법 = 238
(a) 장3화음(단조의 Ⅵ) = 238
(b) 단3화음(장조;Ⅱ·Ⅲ·Ⅵ,단조;없음) = 239
(c) 감3화음(장조;Ⅶ,단조;Ⅱ·Ⅶ) = 239
(d) 증3화음(단조의 Ⅲ) = 239
6. 리듬의 종류 = 242
(a) 22종의 리듬형 = 242
(b) 한국 국악의 기본 장단 = 245
제13과 4화음(7의 화음) = 246
1. 속7화음(Ⅴ<TEX>$$_{7}$$</TEX>)과 부7화음 = 246
2. 7화음의 종류와 협화감(協和感) = 246
3. 7화음의 4성체 = 247
(a) Ⅱ<TEX>$$_{7}$$</TEX>의 화음 = 247
(b) Ⅶ<TEX>$$_{7}$$</TEX>의 화음 = 248
(c) 일반적인 감7의 화음 = 250
제14과 종합실습 〔Ⅱ〕 = 255
제15과 차용(借用)화음 = 262
1. 부속(부Ⅴ·제2속음)화음과 그 용법 = 262
(a) Ⅴ/Ⅴ의 사용법 = 264
(b) Ⅴ/Ⅳ의 사용법 = 268
(c) Ⅴ<TEX>$$_{7}$$</TEX>/Ⅵ의 사용법 = 274
(d) Ⅴ<TEX>$$_{7}$$</TEX>/Ⅱ의 사용법 = 278
(e) Ⅴ<TEX>$$_{7}$$</TEX>/Ⅲ의 사용법 = 282
2. 같은 으뜸조로부터 사용하는 차용화음 = 285
제16과 조바꿈(轉調) 반주 = 291
1. 온음계적 조바꿈 = 294
2. 걸림조(近親調)와 공통화음 = 297
3. 5도권 = 299
(a) 각 보표 위의 조표와 주음표 = 300
(b) 장조의 음계도표 = 302
(c) 단조의 음계도표 = 304
4. 근친3도 관계조의 조바꿈 = 307
5. 반음계적 조바꿈 = 308
6. 이명동음(異名同音)적 조바꿈 = 308
7. 반복진행에 의한 조바꿈 = 310
제17과 개리위치의 화음과 화성 = 312
(a) Overlap에 관하여 = 312
(b) 17가지의 반주형 = 321
부록 도표해설 = 327
1. 건반 위에서 본 음이름 = 328
2. 영국·독일·프랑스의 음이름과 조이름 = 328
3. 각 음의 명칭 = 329
(a) <TEX>$$\sharp$$</TEX>에 의해 원음이 반음 높아진 음의 명칭 = 329
(b) <TEX>$$\flat$$</TEX>에 의해 원음이 반음 낮아진 음의 명칭 = 329
(c) (<TEX>$$\sharp$$</TEX><TEX>$$\sharp$$</TEX>)에 의해 한음 높아진 음의 명칭 = 330
(d) <TEX>$$\flat$$</TEX><TEX>$$\flat$$</TEX>에 의해 한음 낮아진 음의 명칭 = 330
4. 여러 종류의 음계 = 330
5. 피아노 건반 12개의 음 위에 서로 다른 화음을 구성한 예 = 333
6. 화음 이름 = 335
(a) 화음의 종류 = 335
(b) 화음의 이름(기본형)표 = 336
(c) 주어진 멜로디에 붙인 화음 이름에 따라 치는 초보적인 반주형 = 338
(d) 종지형(Ⅴ→Ⅰ)의 연습곡 = 338
(e) C장조 음계 위에 성립되는 화음의 종류 = 340
(f) 화음의 형태 = 341
(g) 딸림7화음의 대리 = 341
(h) 종지형태의 도표 = 342
7. 화음진행표 = 342
a) Dm화음을 중심으로 한 화음진행표 = 342
b) Am화음을 중심으로 한 화음진행표 = 344
c) Em화음을 중심으로 한 화음진행표 = 346
8. 한국 가곡의 반주형 참고 곡명 = 348
9. 음악용어와 기호 = 35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