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글] 목차
第1篇 先史時代의 食生活
地球와 生命과 人類
A. 先캄브리아代 = 30
B. 古生代 = 30
C. 中生代 = 30
D. 新生代 = 31
第1章 舊石器時代의 食生活
槪說 = 32
1. 舊石器時代 前期의 食生活 = 32
1. 樹上生活 = 32
2. 조개줍기와 사냥 = 34
3. 直立步行과 石器의 製作 =...
목차 전체
[한글] 목차
第1篇 先史時代의 食生活
地球와 生命과 人類
A. 先캄브리아代 = 30
B. 古生代 = 30
C. 中生代 = 30
D. 新生代 = 31
第1章 舊石器時代의 食生活
槪說 = 32
1. 舊石器時代 前期의 食生活 = 32
1. 樹上生活 = 32
2. 조개줍기와 사냥 = 34
3. 直立步行과 石器의 製作 = 35
4. 불의 이용과 言語의 사용 = 36
5. 北京原人의 食生活 = 37
2. 舊石器時代 中·後期의 食生活 = 38
1. 中期의 食生活 = 38
2. 後期의 食生活 = 39
3. 舊石器人의 턱뼈와 雜食性 = 40
3. 韓半島 舊石器時代의 食生活 = 41
1. 韓半島 舊石器文化遺跡 = 41
2. 韓半島 舊石器人의 食生活 = 42
第2章 新石器- 櫛文土器時代의 食生活
A. 槪說 = 44
B. 硏究法 = 44
C. 遺跡 = 45
Ⅰ. 食品材料의 種類와 그 獲得法 = 46
1. 조개무지와 泥炭遺跡 = 46
1. 조개무지 = 46
2. 泥炭遺跡 = 47
2. 食品의 種類 = 48
1. 水産物 = 48
2. 野生動物 = 49
3. 野生植物 = 50
4. 櫛文土器人의 소금 = 51
5. 香辛料·甘味料 = 52
3. 遺物을 통한 食品 得法의 復元 = 52
1. 돌도끼 = 53
2. 화살촉 = 54
3. 창과 작살 = 55
4. 낚시바늘 = 56
5. 網錘와 그물 = 57
6. 遺物을 남기지 않는 食料 獲得法 = 59
Ⅱ. 櫛文土器時代 末期의 原始的인 農耕 = 61
1. 農耕과 牧畜의 싹틈 = 61
1. 農耕의 싹틈 = 61
2. 牧畜의 싹틈 = 61
2. 華北의 原始農耕 = 62
1. 傳說 속의 原始農耕 = 62
2. 仰韶·龍山의 原始農耕文化 = 63
3. 우리 나라의 原始農耕 = 65
1. 原始農耕 = 65
2. 檀君神話와 原始農耕 = 67
3. 阿部의 農業檀君에 관한 起原說 = 67
4. 原始牧畜 = 68
Ⅲ. 食品의 調理와 貯藏
1. 發火琺 = 68
1. 神話 속의 發火 = 69
2. 發火法 = 69
2. 食品의 調理用具 = 70
1. 土器 = 70
2. 土器아닌 食器 및 調理用具 = 72
3. 집터 속의 調理·貯藏施設 = 72
4. 調理材料 장만하기 = 73
1. 돌긁개와 식칼 = 74
2. 돌도끼·돌송곳·돌톱 = 74
3. 돌망치와 갈돌 = 75
4. 浸漬 = 75
5. 調理 = 75
1. 調理에 관한 中國의 傳說 = 76
2. 直火調理 = 76
3. 삶거나 데치는 調理 = 77
4. 찜 調理 = 77
5. 뾰족 밑 土器에 의한 調理 = 78
6. 貯藏食 = 78
1. 食品貯藏의 本能 = 78
2. 貯藏法 = 78
Ⅳ. 榮養과 健康 = 79
1. 櫛文土器人의 榮養과 健康 = 79
1. 榮養狀態의 調査 = 80
2. 櫛文土器人의 偏食과 衛生 = 80
3. 櫛文土器人의 壽命 = 80
2. 檀君神話에 얽힌 榮養思想 = 81
1. 神話 속의 마늘 = 81
2. 檀君神話 속의 藥食同源 = 81
第2篇 古朝鮮·原三國時代의 食生活
A. 改設 = 84
B. 硏究法 = 84
C. 文獻解說 = 89
第1章 食品材料의 種類와 그 生産
1. 靑銅器文化와 鐵器文化의 流入 = 94
1. 靑銅器文化의 流入 = 94
2. 鐵器文化의 流入 = 94
2. 農産物의 生産 = 96
1. 無文土器-靑銅器時代의 農耕 = 96
2. 鐵器時代(衛滿朝鮮·原三國時代)의 農耕 = 99
3. 穀物의 種類 및 起原 = 102
1. 五穀 = 102
2. 粟과 米 = 103
3. 黍와 稷 = 104
4. 피 = 106
5. 麥과 小麥 = 106
6. 稻 = 108
7. 麻 = 112
8. 菽 = 113
9. 苽 = 114
10. 蜀黍 = 115
4. 菜蔬 및 野生草 = 116
1. 原三國時代의 菜蔬 및 野生草 = 116
2. 中國 古文獻 속의 菜蔬·野生草 = 116
3. 漢代의 溫室栽培 = 117
4. 菜蔬의 種類와 起原 = 118
5. 暈菜 = 120
5. 果實 = 121
1. 原三國時代의 果實 = 121
2. 果實의 種類와 起原 = 122
6. 사냥과 그 대상물의 종류 = 123
1. 古代 中國의 사냥 = 123
2. 原三國時代의 사냥 = 124
3. 昆蟲 = 127
7. 牧畜 = 127
1. 古代 中國의 牧畜 = 127
2. 原三國時代의 牧畜 = 129
8. 家畜의 種類와 起原 = 130
1. 소 = 130
2. 말 = 132
3. 돼지 = 133
4. 개 = 135
5. 羊 = 137
6. 닭 = 139
9. 水産物 = 141
1. 古代 中國의 고기잡이 = 141
2. 原三國時代의 고기잡이 = 141
3. 물고기와 조개의 종류 = 142
4. 海藻類 = 143
10. 調味·香辛料와 얼음 = 143
1. 油料 = 143
2. 甘味料 = 144
3. 소금 = 145
4. 香辛料 = 148
5. 얼음 = 149
第2章 食器와 부엌세간
1. 古代 中國의 食器 = 151
1. 仰訴·龍山文化의 土器 = 151
2. 國家權威의 상징인 鼎 = 153
3. 殷代의 靑銅祭器 = 153
2. 古朝鮮·原三國時代의 土器 = 155
1. 無文土器-靑銅器時代의 土器 = 155
2. 鐵器時代의 土器 = 157
3. 세 발 빈 주머니토기와 시루 = 159
3. 부엌세간 = 160
1. 돌칼 = 160
2. 절구와 맷돌 = 161
3. 鼎과 화덕·가마솥 = 163
4. 俎와 豆·邊 = 165
5. 靑銅製술잔 = 168
6. 漆器 = 168
7. 숟가락과 젓가락 = 168
第3章 食品의 調理·加工
1. 古代 中國의 調理·加工觀과 制度 = 171
1. 殷나라 宰相 伊尹의 調理·加工 = 171
2. 周禮 속의 調理·加工制度 = 173
2. 穀物의 調製와 調理·加工 = 173
1. 調製 = 173
2. 燒穀과 乾燥粮 = 174
3. 밥과 죽 = 175
4. 떡 = 176
5. 粉食의 發展 = 177
3. 醱酵鹽藏食品 = 179
1. 善藏釀의 나라 高句麗 = 179
2. 醬 = 179
3. 생선식해와 젓갈 = 180
4. 김치 = 182
4. 肉類의 調理·加工 = 183
1. 禮記 속의 肉類調理 = 183
2. 貊炙 = 183
5. 調理原理 = 185
1. 禮記 속에 나타나는 食單作成의 原則 = 185
2. 禮記 속에 나타나는 季節食 = 186
3. 配膳法 = 187
4. 八珍料理 속의 調理技術 = 187
6. 술 = 189
1. 술의 起原 = 189
2. 술起原에 관한 傳說 = 190
3. 누룩 = 191
4. 古代 중국의 술 = 192
5. 原三國時代의 술 = 195
第4章 榮養과 健康
1. 古代 中國의 榮養健康觀 = 197
1. 古代 思想의 바탕 = 197
2. 榮養健康觀 = 197
2. 食醫 = 200
3. 營養敎育과 禁忌食品 = 200
1.孔子의 榮養敎育 = 200
2.禮記 속의 禁忌食品 = 200
4. 古朝鮮·原三國時代의 榮養과 健康 = 201
1. 農耕과 榮養狀態 = 201
2. 健康管理 = 201
3. 原三國人의 體力 = 201
第3篇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食生活
A. 開設 = 204
B. 硏究法 = 204
C. 文獻解說 = 208
第1章 食品材料의 生産과 種類
1. 農耕의 土着化 = 211
1. 鐵製農具의 普及 = 211
2. 三國의 農耕 = 211
2. 齊民要術 = 212
1. 齊民要術의 內容 = 212
2. 齊民要術의 舞臺와 後世에 미친 影響 = 212
3. 穀物의 種類 = 214
1. 稻 = 214
2. 麥類 = 215
3. 豆類 = 216
4. 穀 = 218
5. 租·米·粟 = 219
6. 메밀 = 221
4. 菜蔬와 野生植物 = 221
1. 齊民要術 속의 菜蔬 = 221
2. 菜蔬의 種類 = 222
3. 暈菜 = 227
4. 野生草 = 228
5. 果實 = 228
1. 齊民要術 속의 果實 = 228
2. 果實의 種類 = 228
6. 鳥獸肉과 卵·乳 = 231
1. 齊民要術 속의 사냥대상물과 家畜의 종류 = 231
2. 우리 나라의 사냥 = 231
3. 우리 나라의 畜産物 = 232
4. 달걀 = 234
5. 乳 = 234
7. 水産物 = 235
1. 船泊에 의한 고기잡이 = 235
2. 물고기와 조개의 종류 = 236
3. 海藻類 = 236
8. 三國時代의 飮食패턴 = 237
9. 佛敎의 傳來와 殺生禁止 = 237
1. 佛敎의 傳來 = 237
2. 殺生禁止 = 237
10. 調味·香辛料와 얼음 = 239
1. 油 = 239
2. 甘味料 = 240
3. 소금 = 241
4. 香辛料 = 242
5. 얼음 = 242
11. 食品材料에 관한 政策 = 242
1. 굶주림과 賑恤 = 242
2. 食品材料의 貢納 = 244
3. 食品材料의交換 = 244
第2章 食器·부엌세간·燃料 및 度量衡
1. 食器·부엌세간 = 246
1.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土器의 特色 = 246
2. 日用食器 = 248
3. 貯藏·醱酵用 食器 = 248
4. 烹熟用 食器 = 250
5. 사치스런 食器 = 252
6. 부엌세간 = 255
2. 燃料 = 258
1. 숯 = 258
2. 獸炭 = 259
3. 石炭 = 259
3. 度量衡 = 259
1. 度量衡의 起原 = 259
2. 度의 單位 = 260
3. 量의 單位 = 261
4. 衡의 單位 = 261
5.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度量衡 = 262
第3章 食品의 調理·加工
1. 穀物의 調製와 調理·加工 = 264
1. 穀物의 調製 = 264
2. 밥과 죽 = 265
3. 乾燥粮 = 267
4. 齊民要術 속의 餠 = 267
5. 齊民要術 속의 餌 = 270
6.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떡과 과자 = 271
2. 麴 = 273
1. 餠麴類 = 274
2. 散麴類 = 274
3. 시·醬·末醬 = 276
1. 시 = 276
2. 醬 = 276
3. 末醬 = 277
4. 술 = 279
1. 齊民要術 속의 釀造 = 279
2. 齊民要術 속의 特別酒 = 281
3. 唐代의 술 = 281
4.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술 = 281
5. 술에 얽힌 餘話 = 283
5. 食醋와 양념 = 284
1. 食醋 = 284
2. 제 = 285
6. 飮料 = 286
1. 周禮·禮記 속의 飮料 = 286
2. 맹물 = 286
3. 金庾信의 漿水 = 287
4. 박하飮料와 五味子飮料 = 287
7. 茶 = 288
1. 中國의 茶 = 288
2. 茶酒論 = 290
3. 新羅의 茶 = 291
8. 園藝食品의 貯藏과 調理·加工 = 293
1. 齊民要術 속의 채소·果實貯藏 = 293
2. 齊民要術 속의 果實·菜蔬乾燥 = 293
3. 齊民要術 속의 果實 제齊 = 294
4. 齊民要術 속의 菜蔬調理 = 295
9. 김치 = 296
1. 齊民要術 속의 김치 = 296
2.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김치 = 298
3. 日本의 김치 = 299
10. 乳 및 卵의 調理·加工 = 301
1. 乳加工 = 301
2. 卵의 調理 = 302
11. 肉類와 魚類의 加工 = 303
1. 肉嗜好 = 303
2. 屠殺 = 303
3. 肉類와 魚類의 加工 = 304
12. 肉類와 魚類의 調理 = 305
1. 膾와 肉菹 = 305
2. 羹과 학 = 306
3. 蒸과 부 = 307
4. 암· ·煎·消 = 308
5. 炙과 油煎 = 308
6. 內臟·피·발바닥의 調理 = 309
13. 貴族食과 庶民食 = 310
1. 王家의 食生活制度 = 310
2. 貴族食 = 311
3. 食事回數 = 311
4. 庶民食 = 312
第4章 榮養과 健康
1. 榮養과 健康에 관한 學問의 傳來 = 315
1. 經·史書와 雜典의 傳來 = 315
2. 中國의 영향을 받은 三國의 榮養健康學 = 315
3. 整備된 東洋版 食品學 = 315
4. 日本에 건너간 三國의 榮養健康學 = 316
5. 唐代의 영향을 받은 統一新羅의 榮養健康學 = 316
6. 印度 榮養健康學의 傳來 = 316
2. 비타민 缺乏症 = 317
1. 비타민 B1 缺乏症 = 317
2. 비타민 A 缺乏症 = 317
3. 스태미너食 = 318
1. 人蔘 = 318
2. 海狗腎 = 319
4. 榮養健康狀態 = 319
第4篇 高麗時代의 食生活史
A. 槪說 = 322
B. 硏究法 = 322
C. 文獻解說 = 324
第1章 食品材料의 種類와 生産
1. 農耕의 勸奬과 賑恤 = 333
1. 農耕의 勸奬 = 333
2. 災害와 賑恤 = 355
2. 穀物 = 337
1. 쌀 = 337
2. 高麗圖經 = 338
3. 麥類 = 339
4. 그 밖의 穀類 = 340
3. 園藝食品과 野生草果 = 342
1. 菜蔬 = 342
2. 버섯 = 347
3. 野生草 = 348
4. 果樹園藝의 勸奬 = 349
5. 高麗圖經과 鄕藥救急方 속의 果實 = 349
6. 圃隱集 속의 枇杷와 앵두 = 349
7. 잣·호두·밤 = 350
8. 다래·머루·포두 = 350
9. 능금무리 = 351
10. 柑橘類 = 354
11. 도토리 = 355
12. 藥用食品인 人蔘의 人工栽培 = 357
4. 鳥獸肉과 乳 = 358
1. 高麗의 牧畜 = 358
2. 殺生禁止에서 肉食指向 = 359
3. 鷹坊 = 360
4. 羊肉과 豚肉 = 362
5. 鷄肉과 犬肉 = 362
6. 牛肉 = 363
7. 馬肉 = 365
8. 鳥肉 = 366
9. 野生動物 = 366
10. 人肉食 = 367
11. 乳 = 368
5. 水産物 = 369
1. 庶民生活 속의 水産物 = 369
2. 水産物의 種類 = 369
6. 調味·香辛料와의 얼음 = 371
1. 소금 = 371
2. 甘味料 = 372
3. 油料 = 373
4. 香辛料 = 373
5. 酸味料 = 374
6. 얼음 = 375
第2章 食器·부엌세간·發火法 및 度量衡
1. 高麗의 食器와 부엌세간 = 376
1. 文獻 속에 나오는 食器와 부엌세간 = 376
2. 高麗의 陶瓷器 = 378
3. 高麗漆器와 나전漆器 = 379
4. 놋쇠食器 = 379
5. 溫突과 寢食起居樣式 = 382
6. 물건을 머리에 이는 관습 = 383
2. 發火法 = 383
3. 度量衡 = 383
第3章 食品의 調理·加工
1. 穀食의 貯藏과 밥·죽·乾후 = 385
1. 쌀의 貯藏 = 385
2. 穀物의 調製 = 385
3. 밥과 죽 = 386
4. 乾후 = 387
2. 떡·과자·국수 = 387
1. 떡 = 387
2. 과자 = 392
3. 국수 = 394
3. 콩加工品 = 396
1. 豆腐 = 396
2. 콩나물 = 397
3. 醬과 시 = 398
4. 園藝食品의 調理·加工 = 400
1. 채소국 = 400
2. 熟菜·生菜 = 402
3. 상치쌈 = 402
4. 밤의 貯藏 = 403
5. 김치·장아찌 = 403
5. 屠牛와 肉類의 調理 = 407
1. 屠牛와 賤流階級 = 407
2. 居家必用 = 408
3. 居家必用 속의 肉類調理 = 409
4. 高麗의 肉類調理 = 411
6. 飮料 = 414
1. 白米漿 = 414
2. 蜜水 = 414
3. 熟水 = 414
4. 居家必用 속의 飮料 = 415
7. 茶 = 416
1. 國家祭儀 속의 茶 = 416
2. 茶와 禪 = 417
3. 茶道 = 418
4. 飮料器具 = 419
5. 茶房과 此村 = 421
6. 濟茶法 = 422
7. 茶의 種類 = 423
8. 飮茶法 = 424
9. 茶 誅求에 관한 東國李相國集 속의 詩 = 425
第4章 술
1. 宋·元代의 술 = 427
1. 宋代의 本草衍義 속의 술 = 427
2. 宋代의 北山酒經 속의 술 = 427
3. 元代 居家必用 속의 술 = 430
4. 글안族의 特殊酒 = 431
2. 高麗의 술 = 431
1. 高麗圖經 속의 술 = 432
2. 高麗의 淸·法酒 = 432
3. 高麗庶民들의 濁酒 = 434
4. 燒酒 = 436
5. 高麗酒의 基本 패턴 = 439
6. 詩文과 傳說 속의 술 = 439
7. 高麗의 特殊酒 = 441
8. 麴先生傳과 麴醇傳 = 444
9. 술에 얽힌 餘話 = 445
第5章 日常食과 特別食
1. 日常食 = 447
1. 食事回數 = 447
2. 日常食의 食單 = 447
2. 祭祀食 = 448
1. 祭祀食의 由來 = 448
2. 禮記 속의 祭祀食 = 448
3. 祭祀樣食의 變遷 = 449
4. 高麗의 宗廟祭祀食 = 449
5. 宗廟祭祀食의 返古復始 = 450
6. 祭祀食의 隨宜損益 = 452
3. 古代 中國의 술안주 = 452
1. 詩經 속의 술안주 = 452
2. 漢·魏·唐의 술안주 炙 = 452
3. 元代의 술안주 = 453
4. 女眞族의 宴會食 = 453
5. 高麗의 宴會食 = 453
1. 鄕飮食 = 453
2. 燕飮食 = 454
3. 宴會食의 奢侈 = 454
4. 八關會의 宴會食 = 454
5. 宴會와 妓生 = 455
6. 朴通事 속의 宴會食 = 456
7. 老乞大 속의 宴會食 = 456
6. 貨幣와 酒食店 = 457
1. 高麗의 市場과 貨幣 = 457
2. 高麗의 酒店 = 457
3. 東京夢華錄 속에 나오는 北宋의 酒樓 = 457
7. 寺院 속의 食品加工과 食品販賣 = 458
8. 高麗의 歲時食 = 459
第6章 榮養과 健康
1. 健康管理를 위한 政策 = 460
1. 醫官의 養成 = 460
2. 宋나라의 영향을 받은 醫學 = 460
3. 自主的인 健康管理로 指向 = 460
4. 王과 貴族層을 위한 健康管理 = 461
5. 庶民들의 健康管理 = 461
6. 求療事業 = 461
2. 營養食을 위한 政策 = 461
1. 營養食을 위한 職官 = 461
2. 高麗의 食醫 = 462
3. 高麗의 食生活 속에 침투된 陰陽五行說 = 462
1. 陰陽說 = 463
2. 五行說 = 464
3. 五行의 相生·相剋說 = 465
4. 高麗版 食品學 = 466
1. 趙憲泳의 藥食觀 = 466
2. 鄕藥救急方은 高麗版 食品學 = 466
3. 本草學의 營養價表示法 = 466
5. 營養食을 위한 調理原理 = 468
1. 陰陽調和 = 468
2. 五味의 調和 = 468
3. 性味相剋 = 468
4. 以類補類 = 468
5. 所宜所忌 = 469
6. 高麗 營養學의 現代科學的인 照明 = 469
1. 高麗以來의 율무쌀榮養價論 = 469
2. 大○敬節氏의 愼重論 = 470
3. 율무食이 쥐의 脫毛를 일으킨다는 實驗報告 = 470
7. 藥의 修合과 食品의 調理 = 471
1. 鄕藥救急方 속의 藥修合法 = 471
2. 傷寒論의 葛根湯달이기 = 471
3. 藥의 修合과 調理의 同源 = 471
8. 食品의 禁忌와 中毒 = 472
1. 食品의 禁忌 = 472
2. 食中毒 = 472
9. 高麗人의 榮養狀態 = 472
10. 영養이 榮養이냐 營養이냐의 考證 = 473
1. 榮養과 營養의 使用變遷과 現狀 = 473
2. 養·榮·營의 字源과 字意 = 476
3. 榮·營의 韓醫學的인 뜻 = 476
4. 陰陽說로 본 養·榮·營 = 477
5. 영養의 뜻으로 본 榮養과 營養 = 478
參考文獻 = 479
찾아보기 = 48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