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글] 목차
옮긴이 해제-상징해석학자로서의 엘리아데 = 25
지은이의 말 = 45
제1부 천공신과 태양
제1장 성(聖)의 구조와 형태
1. 성(聖)과 속(俗) = 53
2. 방법론적 난점 = 57
3. 히에로파니의 종류 = 60
4. 히에로파니의 다양성 = 64
5. 히에로파니의 변증법 = 66
6. 터부와 성의...
목차 전체
[한글] 목차
옮긴이 해제-상징해석학자로서의 엘리아데 = 25
지은이의 말 = 45
제1부 천공신과 태양
제1장 성(聖)의 구조와 형태
1. 성(聖)과 속(俗) = 53
2. 방법론적 난점 = 57
3. 히에로파니의 종류 = 60
4. 히에로파니의 다양성 = 64
5. 히에로파니의 변증법 = 66
6. 터부와 성의 양면성 = 69
7. 마나 = 74
8. 히에로파니의 구조 = 81
9. 히에로파니의 재평가 = 84
10. '원시'종교의 복합성 = 89
제2장 천공과 천공신
11. 천공적 성성(聖性) = 94
12. 오스트레일리아의 천공신 = 98
13. 안다만 제도 및 아프리카인 등의 천공신 = 101
14. 격절신(隔絶神) = 105
15. 천공신을 대신하는 새로운 '신의 형태' = 111
16. 융합과 교체 = 113
17. 천공의 지고존재자의 태고성 = 116
18. 북극과 중앙아시아 주민의 천공신 = 120
19. 메소포타미아 = 127
20. 디아우스, 바루나 = 130
21. 바루나와 지상권 = 134
22. 이란의 천공신 = 138
23. 우라노스 = 141
24. 제우스 = 145
25. 주피터, 오딘, 타라니스 등 = 147
26. 폭풍신 = 151
27. 번식신 = 155
28. 대모신의 배우자 = 162
29. 야훼 = 165
30. 천공신을 대체하는 번식신 = 168
31. 천공의 상징 = 172
32. 승천신화 = 175
33. 승천의례 = 178
34. 승천의 상징 = 182
35. 결론 = 184
제3장 태양과 태양숭배
36. 태양의 히에로파니와 '합리화' = 188
37. 지고존재자의 '태양화' = 191
38.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 194
39. 문다족의 태양화 = 195
40. 태양숭배 = 198
41. 태양의 자손 = 200
42. 비의사제와 영혼인도자로서의 태양 = 202
43. 이집트의 태양숭배 = 206
44. 고대의 오리엔트와 지중해 연안의 태양숭배 = 210
45. 인도: 태양의 양면성 = 213
46. 태양영웅, 죽은 자, 선택된 자 = 218
제2부 풍요와 재생
제4장 달과 달의 신비학
47. 달과 시간 = 225
48. 모든 달의 에피파니의 통일성 = 228
49. 달과 물 = 231
50. 달과 식물 = 234
51. 달과 풍요 = 236
52. 달, 여성, 뱀 = 241
53. 달의 상징 = 243
54. 달과 죽음 = 245
55. 달과 가입의례 = 250
56. 달의 '생성'의 상징 = 252
57. 우주생물학과 신비적 생리학 = 255
58. 달과 운명 = 258
59. 달의 형이상학 = 260
제5장 물과 물의 상징
60. 물과 사물의 씨 = 264
61. 물에 의한 우주창조 = 267
62. 우주의 어머니로서의 물 = 269
63. 생명수 = 271
64. 침례의 상징 = 273
65. 세례 = 275
66. 죽은 자의 갈증 = 277
67. 기적과 신탁의 샘 = 280
68. 물의 에피파니와 물의 신 = 283
69. 님프 = 285
70. 포세이돈, 아에기르 등 = 287
71. 물의 동물과 물의 표장 = 289
72. 홍수의 상징 = 293
73. 요약 = 295
제6장 성스러운 돌: 에피파니, 표시, 형태
74. 돌의 크라토파니 = 297
75. 장례거석비 = 299
76. 풍요석 = 302
77. '미끄럼' = 305
78. 구멍이 있는 돌:'뇌석' = 309
79. 운석과 베델 = 311
80. 돌의 에피파니와 상징 = 313
81. 성스러운 돌, 옴팔로스, '세계의 중심' = 316
82. 표시와 형태 = 319
제7장 대지, 여성, 풍요
83. 대지의 어머니 = 322
84. 원초의 배우신: 하늘과 땅 = 324
85. 대지의 히에로파니의 구조 = 327
86. 지하신의 모성 = 330
87. 대지의 자손 = 333
88. 재생 = 337
89. 인간과 토양 = 340
90. 우주론적 연대성 = 342
91. 흙과 여성 = 344
92. 여성과 농경 = 346
93. 여성과 밭고랑 = 348
94. 종합 = 350
제8장 식물: 재생의 상징과 의례
95. 임시적인 분류 = 353
96. 성스러운 나무 = 356
97. 소우주로서의 나무 = 359
98. 신의 거처로서의 나무 = 361
99. 우주나무 = 363
100. 거꾸로 선 나무 = 365
101. 이그드라실 = 367
102. 식물의 에피파니 = 370
103. 식물과 대여신 = 373
104. 도상적 상징 = 376
105. 대여신과 생명의 나무 = 377
106. 선악과나무 = 381
107. 생명나무의 수호자 = 383
108. 괴물과 그리핀 = 385
109. 나무와 십자가 = 387
110. 회춘과 불사 = 390
111. 약초의 원형 = 392
112. 세계축으로서의 나무 = 396
113. 초목으로부터의 인류발생의 신화 = 398
114. 초목으로의 변형 = 402
115. 인간과 초목의 관계 = 404
116. 재생하는 나무 = 406
117. 나무의 결혼 = 408
118. 5월의 나무 = 410
119. '왕'과 '왕비' = 414
120. 성과 식물 = 416
121. 식물의 대리인 = 418
122. 의례적 경기 = 421
123. 우주적 상징 = 424
124. 요약 = 427
제3부 성스러운 공간과 시간
제9장 농경과 풍요의 의례
125. 농경의례 = 433
126. 여성, 성, 농경 = 435
127. 농경의 공물 = 437
128. 수확의 '힘' = 438
129. 신화적 의인화 = 441
130. 인신공희 = 446
131. 아스텍족과 콘드족의 인신공희 = 448
132. 공희와 재생 = 451
133. 수확완료의 의례 = 454
134. 죽은 자와 종자 = 456
135. 농경과 장례의 신들 = 459
136. 성생활과 논밭의 풍요 = 461
137. 오르기의 의례적 기능 = 464
138. 오르기와 재합일 = 466
139. 농경적 신비주의와 구원 = 468
제10장 성소: 사원, 궁전, '세계의 중심'
140. 히에로파니와 반복 = 470
141. 공간의 성별 = 473
142. 성스러운 공간의 '건조' = 476
143. '세계의 중심' = 480
144. 우주적 유형과 건조의례 = 486
145. '중심'의 상징 = 487
146. '낙원에의 노스탤지어' = 490
제11장 성스러운 시간과 영원한 재생의 신화
147. 시간의 이질성 = 494
148. 히에로파니적 시간의 통일과 연속 = 498
149. 주기적인 반복: 영원한 현재 = 499
150. 신화적 시간의 회복 = 502
151. 비주기적인 반복 = 505
152. 시간의 재생 = 506
153. 매년 반복되는 우주창조 = 508
154. 우주창조의 우연적 반복 = 514
155. 전면적 재생 = 517
제12장 신화의 형태와 기능
156. 우주창조 신화: 범형신화 = 519
157. 우주창조의 알 = 523
158. 신화가 계시하는 것 = 528
159. 반대의 일치: 신화적 유형 = 531
160. 양성구유 신의 신화 = 532
161. 양성구유 인간의 신화 = 535
162. 갱신, 건조, 가입의례 등의 신화 = 538
163. 신화의 구조: 바루나와 브리트라 = 541
164. 모범적 역사로서의 신화 = 543
165. 신화의 타락 = 545
제13장 상징의 구조
166. 상징으로서의 돌 = 549
167. 상징의 타락 = 553
168. 유치화(幼稚化) = 557
169. 상징과 히에로파니 = 560
170. 상징의 수미일관성 = 563
171. 상징의 기능 = 567
172. 상징의 논리 = 569
결론 = 572
옮긴이의 말 = 580
엘리아데 연보 = 585
찾아보기 = 5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