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ENGLISH
  • LOGIN
  • 사이트내검색
    사이트내 검색

    닫기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로고 이미지

닫기

상세정보

  • HOME
  • 검색상세정보

야생의 몸, 벌거벗은 인간 : 인간의 몸을 만든 포식자 기생자 동반자

Dunn, Rob R

책이미지
서평쓰기
서평쓰기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야생의 몸, 벌거벗은 인간 : 인간의 몸을 만든 포식자 기생자 동반자 / 롭 던 지음 ; 김정은 옮김
개인저자Dunn, Rob R.
김정은
발행사항서울 : 열린과학, 2012
형태사항366 p. : 삽화 ; 22 cm
원서명(The) wild life of our bodies :predators, parasites, and partners that shape who we are today
연관저록The wild life of our bodies : Dunn, Rob R 1st ed. New York : Harper, c2011. 9780061806483
ISBN9788992985246
일반주기 색인수록
언어한국어

전자자료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캠퍼스대출캠퍼스대출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매체정보
1 00011899910 579.17 012갸 [신촌]도서관/과학기술자료실(중도4층)/ 대출가능

책 소개

책소개 일부

인간은 세균과 기생충이 가득한 야생에서 진화했다. 인간의 몸은 서로 다른 수백 가지의 종들에 의지해 살고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종들을 잘 활용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청결한 생활’은 우리에게 많은 이득을 가져다주었지만 인류가 이전에는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위험에 빠트리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 롭 던은 최근 선진국 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자가면역질환 중에서도 고통이 가장 심한 질병인 크론병을 예로 들며, 그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그의 생물학적 지식과 광범위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10년간 환자수가 4배 이상 급증하고 있는 염증성 대장질환 크론병에 대해 주류의사들은 서구식 식습관과 흡연 등이 원인이라고 말한다.

이 병이 처음 발병한 서구 선진국 사회에서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추측하는 것’ 뿐이다. 그러나 흡연이나 식습관은 이 병을 악화시킬 뿐 근본적인 원인은 되지 못한다. 크론병의 전제조건이 되는 것은 경제발전, 풍족함, 도시화, 부처럼 우리가 현대적이라고 여기는 것들이다. 이전에 인도와 중국에는 이 병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

책소개 전체

인간은 세균과 기생충이 가득한 야생에서 진화했다. 인간의 몸은 서로 다른 수백 가지의 종들에 의지해 살고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종들을 잘 활용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청결한 생활’은 우리에게 많은 이득을 가져다주었지만 인류가 이전에는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위험에 빠트리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 롭 던은 최근 선진국 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자가면역질환 중에서도 고통이 가장 심한 질병인 크론병을 예로 들며, 그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그의 생물학적 지식과 광범위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10년간 환자수가 4배 이상 급증하고 있는 염증성 대장질환 크론병에 대해 주류의사들은 서구식 식습관과 흡연 등이 원인이라고 말한다.

이 병이 처음 발병한 서구 선진국 사회에서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추측하는 것’ 뿐이다. 그러나 흡연이나 식습관은 이 병을 악화시킬 뿐 근본적인 원인은 되지 못한다. 크론병의 전제조건이 되는 것은 경제발전, 풍족함, 도시화, 부처럼 우리가 현대적이라고 여기는 것들이다. 이전에 인도와 중국에는 이 병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일부에서 나타나고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일부

“문명의 역설” 인류는 지금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문명은 역설적이게도 우리에게 암과 당뇨병, 자폐증,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각종 불안장애, 심지어 이와 턱관절, 시력 문제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몸은 수천 년 동안 존재했던 생태적 환경에서 벗어나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 면역학자, 진화생물학자, 생리학자들은 이런 상황들을 이제 겨우 이해하기 시작했다. 롭 던은 이 책을 통해 지금 인류가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는 사실을 깊이 있게 고찰한다.

인간은 진화의 관점에서 볼 때 아주 최근까지도 세균과 기생충이 가득한 야생에서 살아왔다. 생존을 위해 사냥을 하기도하고 포식자에게 쫓기거나 잡아먹히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모습은 더 이상 자연의 일부분이 아니다. 현대문명은 개발과 청결한 생활이라는 명목 하에 우리의 몸과 주변에서 자연을 몰아냈다. 기생충, 세균, 공생생물, 포식자에 이르는 거의 모든 종류의 생명을 우리 주변에서 제거해 광포한 야생의 위험이 없는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몸은 서로 다른 수백 가지의 종들에 의지해 살고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종들을 잘 활용하는 방식으로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전체

“문명의 역설” 인류는 지금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문명은 역설적이게도 우리에게 암과 당뇨병, 자폐증,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각종 불안장애, 심지어 이와 턱관절, 시력 문제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몸은 수천 년 동안 존재했던 생태적 환경에서 벗어나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 면역학자, 진화생물학자, 생리학자들은 이런 상황들을 이제 겨우 이해하기 시작했다. 롭 던은 이 책을 통해 지금 인류가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는 사실을 깊이 있게 고찰한다.

인간은 진화의 관점에서 볼 때 아주 최근까지도 세균과 기생충이 가득한 야생에서 살아왔다. 생존을 위해 사냥을 하기도하고 포식자에게 쫓기거나 잡아먹히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모습은 더 이상 자연의 일부분이 아니다. 현대문명은 개발과 청결한 생활이라는 명목 하에 우리의 몸과 주변에서 자연을 몰아냈다. 기생충, 세균, 공생생물, 포식자에 이르는 거의 모든 종류의 생명을 우리 주변에서 제거해 광포한 야생의 위험이 없는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몸은 서로 다른 수백 가지의 종들에 의지해 살고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종들을 잘 활용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청결한 생활’은 우리에게 많은 이득을 가져다주었지만 인류가 이전에는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위험에 빠트리기도 한다.

우리는 각종 매스컴을 통해 매일같이 새로운 치료법과 신약의 개발에 관한 뉴스들을 접한다. 머지않아 인류는 모든 질병으로부터 해방되어 불로장생을 누리게 될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놀랍게도 최첨단의 의학을 동원해도 현대의학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암이나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은 거의 없다. 현대의학에 치중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의료비를 지출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약의 40퍼센트를 미국에서 소비한다. WHO의 자료에 의하면 미국은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전통의학의 비중이 높은 유럽국가와 남미, 중동국가들에 비해서도 치료수준이 훨씬 낮다. 그나마 1999년 24위에서 2009년에는 49위로 추락했다.

우리 몸에 기생충이 필요한 이유, “진화는 불필요한 설계를 하지 않는다.”

현대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사회 일수록 인류가 이전에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질병에 고통 받고 있다. 각종 암과 이제 그 종류를 헤아리기도 쉽지 않은 ‘자가면역질환’이 그것 들이다. 미국의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노엘 로스 박사Dr. Noel Rose에 의하면 자가면역질환은 이제 그 종류가 무려 80여 가지에 이른다고 한다. 현대의학은 이 병들의 원인이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어떠한 이유로 스스로를 공격하므로 인해서 생기는 질환이라고 추정하는 것 이외에 정확한 원인도 알지 못할 뿐더러 치료 또한 대증요법에만 치중할 뿐 근본적 치료법은 아직 요원하기만 하다.

이 책의 저자 롭 던은 최근 선진국 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자가면역질환 중에서도 고통이 가장 심한 질병인 크론병을 예로 들며, 그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그의 생물학적 지식과 광범위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10년간 환자수가 4배 이상 급증하고 있는 염증성 대장질환 크론병에 대해 주류의사들은 서구식 식습관과 흡연 등이 원인이라고 말한다. 이 병이 처음 발병한 서구 선진국 사회에서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추측하는 것’ 뿐이다. 그러나 흡연이나 식습관은 이 병을 악화시킬 뿐 근본적인 원인은 되지 못한다. 크론병의 전제조건이 되는 것은 경제발전, 풍족함, 도시화, 부처럼 우리가 현대적이라고 여기는 것들이다. 이전에 인도와 중국에는 이 병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일부에서 나타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크론병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가설들을 내놓았다. 그중 장-피에르 휴고Jean-Pierre Hugot는 냉장고에 살고 있는 세균을 크론병의 원인으로 생각했다. 몇몇 증거들이 이를 뒷받침 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관점에서는 TV, 자동차, 세탁기를 갖는 것도 크론병과 관련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어쨌든 이 가설을 뒤집을 명확한 근거는 현재까지 없다. 그러나 휴고의 가설이 입증되려면 인과관계가 증명이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A로 인해 B가 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데 휴고에게는 A와 B는 있는데 인과관계가 입증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크론병 주변에서 발견된 냉장고 세균은 범인일수도 있고, 그냥 구경꾼일수도 있다. 그렇다면 무엇이 원인일까 터프스대학의 의학교수인 조웰 웨인스톡Joel Weinstock은 선진국 사회에서는 이미 사라져버린 유물과도 같은 우리 몸의 기생충에 주목했다. 혹시 사라져 버린 기생충 때문에 면역체계가 스스로를 공격하게 된 것은 아닐까? 언 듯 엉뚱하기도 한 이런 가설은 차츰 힘을 얻게 되고 실제로 환자들을 상대로 기생충을 몸 안에 집어넣는 실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야생을 되살리는’ 이러한 시도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저자 롭 던은 곧 다가올 미래세계에서 인류가 처하게 될 위기와 희망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2050년에는 세계인구가 92억 명에 달하게 된다. 지금의 농업방식으로는 남아메리카만한 농지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의미다. 그러나 그런 땅은 지구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롭 던은 이 문제에 대해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있는 딕슨 데포미에Dickson Despommier의 옥상정원과 수경제배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청구기호 Browsing

이 분야 인기자료

  • 표지이미지
    과학인문학으로의 초대 : 역사·철학·사회학을 관통하며 ...
    야가계일 野家啓一
    오아시스, 2017
  • 표지이미지
    (EXCEL, SPSS, R로 배우는) 통계학 입문
    강상욱
    자유아카데미, 2014
  • 표지이미지
    Contemporary linear algebra
    Anton, Howard
    John Wiley & Sons, 2003
  • 표지이미지
    미스터리 과학 카페 : 세상을 바꾼 과학자 16인의 수...
    권은아
    북트리거 : 지학사, 2019
  • 표지이미지
    젊은 과학도를 위한 한 줄 질문 : 내 생각의 폭을 확...
    남영
    궁리, 201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서평 입력 시 선택한 별점은 전체 별점에 반영됩니다.
제목입력
본문입력

태그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