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 ENGLISH
  • LOGIN
  • 사이트내검색
    사이트내 검색

    닫기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로고 이미지

닫기

상세정보

  • HOME
  • 검색상세정보

폭력의 세기

Arendt, Hannah

책이미지
서평쓰기
서평쓰기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폭력의 세기 / 한나 아렌트 지음 ; 김정한 옮김.
개인저자Arendt, Hannah,1906-1975.
Arendt, Hannah
김정한
발행사항서울 : 이후, 1999.
형태사항158p. : 삽도.
총서사항E-who opus. ;1
원서명On violence
ISBN8988105125
8988105117(세트)
일반주기원저자명: Arendt, Hannah
비통제주제어폭력
violence,폭력
분류기호303.6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캠퍼스대출캠퍼스대출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매체정보
1 00000218108 303.6 99 [원주]중앙도서관/자료열람실301/ 대출가능 캠퍼스대출
2 00000218107 303.6 99 c.2 [원주]중앙도서관/자료열람실301/ 대출가능 캠퍼스대출

책 소개

책소개 일부

제2의 로자 룩셈부르크로도 불리는 한나 아렌트의 정치 철학 에세이집. 이 책은 이제 '역사'가 되는 20세기를 전쟁의 세기, 혁명의 세기 즉 폭력의 세기로 규정하고 있다. 제1부 진보의 역설, 제2부 폭력과 권력, 제3부 폭력의 본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인류의 지적 작업에 거의 전무한, '폭력' 그 자체를 헤아림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 책은 사상적으로는 근대 이후의 정치사상을 포괄하고 있으나, 실제 배경은 주로 1960~70년대의 정치적 사건들이다. 베트남 전쟁, 흑인 인권 운동, 68년 학생운동 등. 전체 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러 대학(시카고, 버클리, 프린스턴 등)에서 2~3년간 강의한 것을 정리한 것이므로 소제목은 없지만 우리말로 옮기는 과정에서 각 장의 제목을 달았다.

아렌트는 20세기를 전쟁과 혁명의 세기, 그 공통분모인 폭력의 세기로 규정한다. 20세기는 이성의 힘으로 폭력 수단을 발전시켜 왔지만, 이제 아무도 그것을 제어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고, 따라서 인간은 자신이 만든 파괴 수단에 의해 스스로 절멸할 위험에 직면해 있다. 그런데도 폭력 그 자체에 대한 성찰은 찾기...

책소개 전체

제2의 로자 룩셈부르크로도 불리는 한나 아렌트의 정치 철학 에세이집. 이 책은 이제 '역사'가 되는 20세기를 전쟁의 세기, 혁명의 세기 즉 폭력의 세기로 규정하고 있다. 제1부 진보의 역설, 제2부 폭력과 권력, 제3부 폭력의 본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인류의 지적 작업에 거의 전무한, '폭력' 그 자체를 헤아림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 책은 사상적으로는 근대 이후의 정치사상을 포괄하고 있으나, 실제 배경은 주로 1960~70년대의 정치적 사건들이다. 베트남 전쟁, 흑인 인권 운동, 68년 학생운동 등. 전체 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러 대학(시카고, 버클리, 프린스턴 등)에서 2~3년간 강의한 것을 정리한 것이므로 소제목은 없지만 우리말로 옮기는 과정에서 각 장의 제목을 달았다.

아렌트는 20세기를 전쟁과 혁명의 세기, 그 공통분모인 폭력의 세기로 규정한다. 20세기는 이성의 힘으로 폭력 수단을 발전시켜 왔지만, 이제 아무도 그것을 제어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고, 따라서 인간은 자신이 만든 파괴 수단에 의해 스스로 절멸할 위험에 직면해 있다. 그런데도 폭력 그 자체에 대한 성찰은 찾기 어렵다.

아렌트가 보기에 폭력에 대한 옹호는 19~20세기가 갖고 있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한 진보'라는 관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직선적이고 연속적인 진보, 어떤 수단을 통해서라도 목적을 달성하는 진보, 이러한 20세기의 관념은 언제든 목적을 내세워 폭력 수단을 정당화하는 폭력에 대한 변론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폭력에 대한 아렌트의 대안적 성찰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폭력과 권력의 구별. 사람들은 폭력을 행사하면서 권력을 갖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폭력과 권력은 전혀 다르다. 권력이 함께 모인 사람들이 갖고 있는 능력으로서 상호간의 동의와 지지에 바탕한 것이라면, 폭력은 사람 수에 상관없이 강제.복종을 지향할 뿐인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 행동 능력의 강조 흔히 사람은 동물처럼 행위한다는 관념이 자연과학에 널리 퍼져 있고, 따라서 인간의 폭력을 불가피한 동물적 특성으로 정의하려는 경향이 존재한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 능력은 동물성과 무관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생성시킬 수 있는, 우리의 의지 및 능력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렌트는 20세기에 잃어버린 인간의 의지 및 능력을 회복해야만 한다고 권고한다.

청구기호 Browsing

이 분야 인기자료

  • 표지이미지
    中國法制通史
    장진번 張晋藩
    法律出版社, 1999
  • 표지이미지
    (마이클 샌델) 공정하다는 착각 : 능력주의는 모두에게...
    Sandel, Michael J
    와이즈베리, 2020
  • 표지이미지
    Corporate governance in Asia :...
    Aronson, Bru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 표지이미지
    International human rights
    Donnelly, Jack
    Routledge, 2020
  • 표지이미지
    리바이어던 : 교회국가 및 시민국가의 재료와 형태 및 ...
    Hobbes, Thomas
    나남, 200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서평 입력 시 선택한 별점은 전체 별점에 반영됩니다.
제목입력
본문입력

태그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