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목차
머리말 = 3
제1부 분단시대와 분단체제
분단체제의 인식을 위하여 = 13
보론 : 분단체제의 논의의 진전을 위해 = 40
4·19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성 = 49
민주·민족운동과 불교 = 68
분단시대의 지역감정 = 77
통일하는 마음 = 83
분단시대의 민족감정 = 88
개벽과 통일 = 103
90년대 머리해에 펼치는 우리의 꿈과 과제 = 111
90년대 민족문학의 과제 = 117
분단시대의 계급의식 = 134
개편기를 맞은 한국의 민족민주운동 = 146
광역의회선거 결과가 말해주는 것 = 154
개량되는 분단체제와 민주화세력의 대응 = 162
남북 합의서 이후의 통일 운동 = 169
제2부 대학과 공부길
학원의 자율화와 자기쇄신 = 181
물질개벽 시대의 공부길 = 193
세계시장의 논리와 인문교육의 이념 = 226
'국제경쟁력'과 한국의 대학 = 254
부록 주로 신상발언
교수의 인권과 대학의 기능 = 279
밖에서 본 동아투위 = 282
일역 평론집 『민족문화운동이 상황과 논리』서문 = 285
제2회 心山賞을 받으며 = 288
'한겨레 논단'일곱 꼭지 = 298
일역 평론집 『지혜의 시대를 위하여』서문 = 318
일역 『백낙청평론선집』1권 서문 = 318
일역 『백낙청평론선집』2권 서문 = 322
머리말 = 3
제1부 분단시대와 분단체제
분단체제의 인식을 위하여 = 13
보론 : 분단체제의 논의의 진전을 위해 = 40
4·19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성 = 49
민주·민족운동과 불교 = 68
분단시대의 지역감정 = 77
통일하는 마음 = 83
분단시대의 민족감정 = 88
개벽과 통일 = 103
90년대 머리해에 펼치는 우리의 꿈과 과제 = 111
90년대 민족문학의 과제 = 117
분단시대의 계급의식 = 134
개편기를 맞은 한국의 민족민주운동 = 146
광역의회선거 결과가 말해주는 것 = 154
개량되는 분단체제와 민주화세력의 대응 = 162
남북 합의서 이후의 통일 운동 = 169
제2부 대학과 공부길
학원의 자율화와 자기쇄신 = 181
물질개벽 시대의 공부길 = 193
세계시장의 논리와 인문교육의 이념 = 226
'국제경쟁력'과 한국의 대학 = 254
부록 주로 신상발언
교수의 인권과 대학의 기능 = 279
밖에서 본 동아투위 = 282
일역 평론집 『민족문화운동이 상황과 논리』서문 = 285
제2회 心山賞을 받으며 = 288
'한겨레 논단'일곱 꼭지 = 298
일역 평론집 『지혜의 시대를 위하여』서문 = 318
일역 『백낙청평론선집』1권 서문 = 318
일역 『백낙청평론선집』2권 서문 = 322